미안하다 미안하다

시리즈 비룡소의 그림동화 6 | 글, 그림 존 버닝햄 | 옮김 박상희
연령 6~10세 | 출판사 비룡소 | 출간일 1996년 11월 10일 | 정가 13,000원
수상/추천 문화일보 추천 도서 외 4건
구매하기
지각대장 존 (보기) 판매가 11,700 (정가 13,000원) 장바구니 바로구매
(10%↓ + 3%P + 2%P)
구매

존 버닝햄 “지각대장 존” – 비룡소

 

  존 버닝햄 작품 중에 내가 처음 대했던 작품이다. 존 버닝햄 대단한 사람이라 들은 적 있어 그림을 보고 처음 실망했었다. 그림책 작가니 그림이 정말정말 이쁠 줄 알았으니깐. 여전히 커서도 못 버리는 이 공주병과 고정관념.

  사람이 못 생겨도 좋은 사람은 한 번 보고 두번 보고 자꾸만 보고 싶어지는 법이다. 난 아직도 존 버닝햄의 작품 속 주인공들이 못 생겼다고 생각하는데 이건 마치 TV속에 사람들은 모두 이뻐서 좀 평범한 인물을 보면 못 생겼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 그림책 속 주인공들이 대부분 이쁘니 평범한 주인공들이 못 생겨 보였던 것 같다. 사실 살다보면 눈에 띄는 이쁜 사람은 드물다. 존의 책처럼 그저 그런 인물들이 세상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으니깐. 존 버닝햄의 책은 읽어도 읽어도 재미있다. 아이들이 한번에 3번이상 연달아 계속 읽어달라고 할 땐 지루해지기도 하지만…..

  처음 내가 이 책을 대했을 때 실망이었다면 아이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이 책이 재미있니?” 란 질문에 아이의 반응은 “그럼, 엄마는 재미없어? 왜?” 오히려 내게 되돌아온 질문. 그래서였다. 존 버닝햄의 책을 읽고 읽고 또 읽었다.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고 있다고 느끼는 엄마는 책 속에 선생님 같은 사람이다. 아이들에게 있어 어른들은 눈에 보이는 것만 믿는 그런 딱딱하고 융통성 없는 사람들이다. 난 확실히 어른이다.

  말도 안되는 소리를 재미있다고 깔깔 거리는 우리 은지는 유아기적 상상이 풍부한 아이다. 상상과 현실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고 정말로 그런 일이 일어날 수 도 있다고 생각하며, 필요에 따라 너무나 이성적으로 상상속에서 현실로 도망치기도 한다.

  존은 매일 매일 학교에 갈 때마다 많은 일을 만나 지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선생님이 고릴라에 붙들려 천장에 매달린 모습을 보자 현실을 직시하며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이야기 한다. 은지는 아이가 자신을 믿어주지 않았던 선생님을 일부러 도와주지 않은 거라고 했다. 그럴 수도 있고 또 다를 수도 있다. 어차피 독자가 생각하기 나름이다. 이지유씨 ‘그림책 사냥을 떠나자’에서 아이가 성장했기 때문에 더 이상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나는 아이가 여전히 현실과 상상을 구별 못하는 아이라고 생각한다. 또 선생님을 일부러 도와주지 않았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아이는 학교에 가기 싫었던 것이 현실이고 그러자니 여러가지 환상에 의해 자신이 학교에 지각할 만한 여러가지 상황을 만들었던 것 같다. 그리하여 아이의 지각은 정당화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선생님에게 그런 상황이 발생했을 땐 냉정한 현실주의자가 된 것이다. 그러나 그 이후 상황은 많이 변했다. 아이에게 더 이상 지각을 할 만한 일들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정말 선생님이 고릴라에게 붙잡혀 찬장에 매달렸 일이 사실이건 환상이건 그런 세계를 보았던 선생님과 어떤 동질감 정도는 느끼지 않았을까? 그것이 선생님에게 어느 정도 마음을 열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다음날 학교에 가는 길이 처음보다는 밝다. 첫장에서 존이 학교에 갈때 다소 배경이 어두워 정말로 새벽 일찍 나갔음에도 지각을 했다는 사실을 뒷바침하기 위한 것인 줄 알았는데 책을 읽다보니 존의 마음이 즐겁지 않았기 때문이란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선생님이 조금만 존을 이해해주려 노력했다면 좀 더 빨리 존이 학교에 오는 동안 생겨날 위험한 일들에 대해 걱정을 덜 수 있었을 것이다. 반성문을 쓰게 하는 선생님은 아이에게 교권의 권위만 앞세우고 있다. 아이를 통제하려는 권위의식가지고는 선생님이 될 수 없다.

 

  존은 학교에 들어간지 얼마 안 된 새내기인 듯  하다. 엄마와 떨어져 학교가는 길은 두려움이요 모험일 것이다. 그래서 악어도 만나고, 사자도 만나고, 홍수도 만났던 것이다. ┏앤 조나즈의 ‘아슬아슬한 여행’ – 비룡소┓에서도 보면 엄마의 손을 잡지 않고 혼자 처음으로 학교에 가던 날 아이의 모험이 잘 나타나 있다. 우리 눈에는 단지 건물이고 나무요, 길에 쓰러기 더미요 모든 사물들이 아이의 환상으로는 무서운 코뿔소요 호랑이요 낙타가 되는 것이다. 단순한 사물도 두려움이 눈을 덮으면 무서운 괴물로 변하는 것이다. 유아부 강주의 선생님과 한글 유은주 선생님 그리고 유치원 별님반 조안진 선생남과 산들반 정지영선생님처럼 다정하고 아이들 마음을 잘 헤아려 주는 분들을 만났기에 은지는 배움이 즐겁고 유치원생활을 잘 할수 있었다. 존이 아이들의 마음을 전혀 헤아려주지 못한 선생님을 만났던 것이 아쉽다. (이건 은지의 말이다) 작가 중에는 아이의 맘을 잘 헤아려 그려주는 할아버지 각가도 많은데 말이다. 하필 완고한 고집쟁이 할아버지 선생님이라니. 선생님이 화날 때마다 점점 작아지는 존이 더 안스럽다.

  어디 선생님 뿐인가! 아이가 엄마를 왜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고 좋아하는데….. 아이가 옹알이를 할 때부터 유일하게 알아주고 대응해주고 인정해주었기 때문이다. 조금 컸다고 어른 대하듯이 아이의 상상을 확확 잘라버리는 말들을 서슴지 않고 있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았다. 이 책을 읽고 다시 한번 마음을 잡고 아이의 거짓, 그러니깐 상상의 세계에 귀를 기울여주는 것에 노력하고 있다. 듣다 보면 재미있다. 이야기가 섞어 찌개가 되어 나올때도 있고, 상황마다 바뀌는 재미도 있고, 단체생활에서 있었던 이야기나 친구의 이야기가 주제가 될 때도 있다. 요즘 들어 독후활동으로 이야기를 구성할 시간을 자주 갖게 되는데 이야기의 구성이나 짜임새가 단단해지고 분야도 넓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 누구나 한 마음으로 아이의 편에서 이해하게 된다. 이것이 작가의 재량인 것이다. 어른마저 쉽게 상상의 세계와 현실을 드나들 수 있게 만들다니 대단하지. 누가 봐도 여기서 어른은 정말 재미없고 딱딱한 존재이며 아무것도 볼 수 없는 사람이다.

 

<독후활동>

 

엄마: 존은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고 학교에 갔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되었을까?

은지: 응. 모르겠는데.

내가 범위를 너무 넓게 질물었다. 아직 6살인데…..

엄마: 학교에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선생님은 천장에서 내려왔을까?

은지: 선생님은 고릴라를 지팡이로 때리고 팔을 하나씩 힘껏 풀어서 내려왔을거야.

엄마: 아, 내려왔구나. 그럼 선생님은 어제 도와주지 않은 일로 존에게 어떻게 했을까?

은지: 선생님은 존에게 미안하다고 그럴거야. 그러게 잘하지. 선생님이 존의 말을 하나도 하나도 안 믿어줬잖아. 하나라도 믿어주지. 그치? 그래서 미안한 마음이 들어서 ‘네 말 안 들어준거 미안하다’ 라고 말했을거야.

엄마: 그럼 존은 선생님의 사과를 어떻게 받아들였는데?

은지: 응. 존도 어제 선생님 말 안 믿어줘서 미안하다고 그랬어. 그래서 잘 지냈어.

엄마: 어? 그럼 존은 어제 고릴라를 보지 못한거야? 엄마는 존이 고릴라를 본 줄 알았어. 선생님이 한 말을 믿지 않은거였구나.

은지: 어. 고릴라는 못봤어. 선생님도 존의 말을 안 들어줬잖아. 그래서 선생님 말을 안 믿은것뿐이야.

다음날 아침 설겆이를 하는데 다가와 그런다.

은지: 엄마, 생각해봤는데 존은 선생님을 봤어. 선생님이 도와달라고 소리쳤는데 그냥 온거야.

엄마: 그래. 존이 고릴라를 본 거였어? 그거 재미있네. 둘 다 재미있다. 그래서 어떻게 되었어?

은지: 응. 둘 다 그냥 화해하고 잘 지내. 존도 학교 잘 다닌데.

엄마: 그래, 존이 그랬니?

은지: 응. 그러던데.

 

* 은지에게 기발한 대답은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미안하다’. ‘잘못했다’ ‘용서해줘’란 말을 잘 사용하지 않는 어른에 대해 실망하고 똑같이 대하고 싶어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안하다고 한마디만 하면 은지는 언제든지 그 마음을 받아 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이다.

 

  ***************************************************************************************************

 

코르네이 추콥스키 지음 <두 살에서 다섯 살까지>-양철북을 읽고

 

이 부분을 읽다보니 <지각대장 존>이 생각이 나서 읽었던 내용을 간추려 발췌하였다.

 

아이들은 놀이에 푹 빠져 들곤 한다. 특히 상상력을 동원하는 놀이를 좋아한다. 다설 살 난 류샤는 영화 촬영장에서 감독에게 물었다.

“전 전차는 왜 움직여요?”(류사)

“전차가 살아 있으니깐”

“왜 불꽃이 튀어요?”

“전차가 화가 나서 그래. 졸려서 자고 싶은데 자꾸 달리게 하니깐 콧김을 씩씩거리는 거야.”

“거짓말! 안 살아 있고 화도 안 났어요. 울 아빠가 안에 기계가 들어 있어서 움직인다고 그랬어요.”

그러나 잠시 후 류사는 친구들에게 전차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그것도 몰라? 살아 있으니깐 움직이는 거야! 봐! 불꽃이 튀잖아. 전차가 화가 났어. 졸려서 그래. 달리다가 지쳤어.”

류사는 전차가 살아 있고 화가 났다는 환상을 즐겼다. 실제로 전차가 어떻게 움직이는 줄 알고 있지만 아이는 상상 속 놀이를 위해 지식의 일부를 의식에서 지워 버린 것이다.

 

또 한 아이의 예를 들면 빵을 먹기 싫다고 하는 아이에게 엄마는 아이가 좋아하는 마치의 화법을 써서 이야기했다.

“저 소리 안 들려? 마치 빵이 먹어 달라고 하는데?”

“빵은 말 못해. 입이 없잖아.”

이렇듯 아이는 필요할 때면 바로 ‘마치’를 전부 거부하고 냉정한 현실주의자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