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고백]가시고백을 들어 줄 진정한 친구가 있다면…

시리즈 읽기책 단행본 | 김려령
연령 14세 이상 | 출판사 비룡소 | 출간일 2012년 2월 5일 | 정가 13,000원
구매하기
가시고백 (보기) 판매가 11,700 (정가 13,000원) 장바구니 바로구매
(10%↓ + 3%P + 2%P)
구매

<완득이> 작가 김려령의 신작 제목을 처음 듣고 생각난 것은 바로 이 노래였다.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서 당신의 쉴 곳 없네”

그 노래를 듣고 있노라면 빨리 고해성사를 해야 될 것 같은 기분이 들곤 하였다.

 

<완득이>를 재미있게 읽은 독자들은 나처럼 그녀의 신작을 고대하고 있었으리라. 이번에는 고등학교 2학년 민해일 이라는 남학생이 주인공이다. 민해일 이라는 아이를 중심축으로 그의 친구 지란, 진오, 다영, 해일의 가족, 담임 샘이 등장한다. 전작에서도 그랬지만 이번 소설에도 담임 선생님이 등장하는데 완득이의 동주 선생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그가 던지는 한 마디는 의미 있다. 아울러 해일의 가시 고백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해일이의 12살 터울이 나는 형 해철- 스스로를 감정 설계사라고 한다.-이 멘토 역할을 더 많이 감당해 내고 있다고 생각한다.그러나 결국 해일의 가슴 속 깊이 박힌 가시를 뽑아낼 수 있게 해 준 것은 바로 지란과 진오 두 친구의 존재가 아니었을까! 청소년들에게는 자신의 가시 고백을 들어 줄 친구가 한 명이라도 있으면 그걸로 충분하다는 생각이 든다.

 

해일의 가시는 바로 그의 예민한 손이다. 가발을 만드는 엄마의 예민한 손을 그대로 물려 받은 해일은 그 손을 다른 사람의 물건을 훔치는 데 사용한다. 그가 일곱 살 유치원 다니던 때 선생님의 지갑에 손을 댄 때부터 시작된다. 그때부터 18살이 될 때까지 해일은 그 곳에 물건이 있기에 훔친다. 다른 이유는 없다. 오직 물건이 그 곳에 있기에 손이 먼저 반응하는 것일 뿐이다. 자신을 소개하는 해일의 일기는 약간 섬짓하면서도 마음에 와 닿는다. 해일의 시니컬한 면이 잘 드러나 있다.

나는 도둑이다.

그러니까 사실은 누구의 마음을 훔친거였다는 낭만적인 도둑도 아니며, 양심에는 걸리나 사정이 워낙 나빠 훔칠 수밖에 없었다는 생계형 도둑도 아닌, 말 그대로 순수한 도둑이다. 강도가 아니라 흉기를 지녀서는 안 되며 사람을 해쳐도 안 된다.  몸에 지닌 지갑이나 가방에 손을 대는 소매치기 날치기도 아니다. 나는 거기에 있는 그것을 가지고 나오는, 그런 도둑이다.

 

그 날도 옆에 앉은 지란이 새 전자수첩을 학교에 가져 와서 자랑을 하였고, 그걸 사물함에 넣었는데 해일이 그걸 가져와 중고시장에 판다. 그 돈으로 딱히 뭘 하지도 않는다. 해일이 장물애비처럼 훔친 물건을 팔아 흥청망청 써버리는 녀석이었다면 정이 안 갔을 것이다. 하지만 훔친 물건을 팔고 난 돈을 그냥 모으고 있으면서 아무 것도 하지 않는 해일이의 모습에서 스산함이 느껴진다. 자신도 자신의 예민한 손을 어쩌지 못하고 그것에 이끌려 다니는 슬픈 운명이라고 할까? 해일이 처음 물건을 훔쳤을 때 그것이 들통 나거나 한 번이라도 실패한 적이 있었다면 좀 더 빨리 자신의 가시를 고백하고, 빼낼 수 있었겠지. 하지만 그의 손은 프로답게 한 치의 실수도 없이 지란의 전자 수첩과 편의점에 있는 전지를 정확히 가져 왔다. 멈추고 싶지만 스스로 멈추지 못하는 해일에게서 연민이 느껴지는 것은 아주 어릴 때부터 혼자 지낸 해일의 절절한 외로움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쿨하다 싶을 정도로 직업 의식이 투철하게 작업하는 해일이 가족과 대화를 하다가 얼떨결에 유정란을 부화시키는 실험을 하겠다는 말을 하게 된다. 그 바람에 실제로 유정란으로 진짜 부화 실험을 하는 해일은 도둑질하는 해일과 도저히 같은 인물이라곤 상상이 되지 않는다. 그건 지란도 마찬가지이고, 담임 샘도 마찬가지이다. 남들에게 보여지는 모습과는 달리 내면에 다른 모습들을 지니고 있다. 11년간 들키기 않고 쿨하게 작업을 하였던 해일에게 점점 일이 꼬이기 시작한다. 그것도 지란이를 통해서 말이다. 해일과는 또 다른 가시를 지니고 있는 지란이가 해일과 진오에게 자신의 친아빠 집에 침입하여 물건에 낙서를 해 달라는 부탁을 한 것이다. 하필이면 그 아파트가 바로 해일의 아버지가 관리소장으로 있는 아파트일 게 뭐람! 이제 해일의 정체가 들통 날 일만 남아 있는가! 정체가 탄로나면 친구들은, 가족들은, 선생님은? 해일이를 용서해 줄 수 있을까?

 

완전한 인간이란 한 명도 존재하지 않기에 인간은 누구나 자기 안에 크고 작은 가시를 가지고 있다. 해일이가 11년 동안 가시 고백을 하지 못한 것은 두렵기도 하고, 들어 줄 누군가가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고백은 시기를 놓치면 더 말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을 우린 경험을 통해 잘 알고 있다. 이제라도 자신의 커다란 가시를 고백한 해일에게 박수를 보낸다. 작가의 말처럼 고백은 독백이 아니다. 독백은 혼자서 하는 말이지만 고백은 누군가를 향하여 하는 말이다. 나의 가시를 뽑아 그대로 들려 줄 누군가를 나도,어린이들도, 청소년들도 지금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닐까!  가시가 뽑히는 순간, 내 몸에 피가 날 수도 있고, 상처가 잘 아물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가시를 그대로 품고 있다면 그 자리가 곪아 터질 수밖에 없다. 

 

작년말부터 학교 폭력이 최대 화두가 되고 있다. 사회에서는 학교 폭력을 줄이기 위한 대책들을 쏟아 내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책이기 보다는 처벌 위주의 것들이라서 안타깝기 그지 없다. 과연 강경한 처벌만으로 학교 폭력이 줄어들 수 있을까? 청소년기에는 다른 때보다 더 뾰족한 가시들이 나와 자신과 상대방에게 상처를 내곤 한다. 그런 그들이 서로에게 가시를 고백할 수 있는 대상이 되어 준다면 -마치 해일에게 진오와 지란이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학교폭력은 지금보다 조금 더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책에 나오는 미연처럼 남의 가시를 들춰서 마구 쑤셔대는 그런 친구가 아니라 서로의 가시를 그대로 인정해 주고, 고백을 들어 줄 그런 진정한 친구가 한 명이라도 청소년기에 존재한다면 우리 학생들이 조금 더 꿋꿋하게 힘든 시기를 견뎌 나가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책에 나온 담임 샘처럼 툭툭 던지는 말 한 마디에도 철학이 들어 있어서 교사와 학생 사이에 소통이 될 수 있다면 다른 나라에 비해 유난히 힘든 대한 민국의 학생 시절을 좀 더 씩씩하게 버텨내지 않겠나 싶다. 결국 학교 폭력은 학생과 학생, 교사와 학생의 관계 회복에서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책을 읽으면서 등장 인물들의 캐릭터가 생생해서 이 소설 또한 영화화되어도 멋지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누구에게나 가시가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기 위해 여러 인물의 에피소드를 나열하다 보니 전작 완득이에 비해 조금 산만한 구성이 되지 않았나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