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시경

시리즈 새싹 인물전 51 | 이은정 | 그림 김혜리
연령 8세 이상 | 출판사 비룡소 | 출간일 2012년 9월 29일 | 정가 8,500원

이 책은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의 모습이 책 표지에 재미있게 그려져 있어 독자로 하여금 우선 눈길을 사로 잡는다.새싹 인물전 51번째로 나온  주시경,아마 한글 하면 제일 먼저 세종대왕이 떠올려질 것이다.하지만 한글을 크고 바르게 키운 국어 학자가 있었으니 그 이름 주시경선생이다.이 인물전은 초등학생 아이들도 쉽게 읽을 수 있게 눈높이가 맞추어져서 부담없이 접할 수 있는 위인전이다.

국어 학자 주시경 선생은 어릴적,아이가 없는 큰 아버지댁으로 보내져 자라게 된다.한문을 익히던 주시경은 ‘저 어려운 한문의 뜻이 겨우 나무 찍는 소리와 새 울음 소리였네! 왜 알아듣기 힘든 발음으로 읽고, 우리말로 다시 풀이해야 할까? 처음부터 우리말로 하면 바로 알아들을텐데.’ 생각하게 된다.주시경은 훈민정음은 한자와 달리 어떤 소리도 쓸수 있는 것에 빠져 들었고 진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필요한 글은 한문이 아니라 우리글 훈민정음이란 걸 알게 된다. 주시경은 그 후 신학문을 배우고 댕기 머리도 자르고 훈민정음을 제대로 공부해서 우리말을 바로 잡기로 마음 먹게 된다.

19살 배배학당에 입학해 우리글 연구에 필요한 지식도 다진다. 그리고 날마다 밥을 먹듯이 우리글을 연구했다. 주시경은 사람들이 쉽게 알아볼수 있는 우리글 문법책을 만들기로 마음먹었고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면서 연구를 거듭할수록 우리말과 우리글이 매우 훌륭하고 아름답다는 걸 깨닫게 된다.그 후 우리글로 쓰인<독립신문>의 교정도 보고 한글을 널리 알리는데 힘썼다. <대한국어문법>의 첫번째 원고를 1898.12.31에 완성하여 우리말 자음과 모음의 특징을 밝히고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지를 정리했다.서울에 있는 수많은 학교의 국어 시간을 주시경이 도맡았으며 일요 학교,야학,국어 강습소 등을 다니며 국어를 가르쳤다. 신문과 잡지 에 우리글과 우리말을 쓰는 것이 왜 중요한지 알리는 글도 썼다. 정부에서 만든 국문 연구소에서 연구원이 되어 우리글의 맞춤법과 발음을 연구했다.

그러는 동안 우리나라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고 우리말과 글은 ‘국어’라고 부를 수 없게 되었다.국어 강습은 ‘조선어 강습원’으로 국어 연구 모임으 ‘조선 언문회’로 이름을 바꾸어야 했다.일본늬 지배를 받는 동안 주시경은 우리말과 글을 더욱 더 열심히 연구했으며 훈민정음의 이름도 우리말로 짓기 위해 오래 오래 고민한 끝에 ‘하나이자 크고 바른 글’이란 뜻의 ‘한글’이란 이름을 짓게 된다.우리말의 소리에도 관심을 가지며 <말의 소리>책을 썼다.우리나라의 첫번째 국어사전인 ‘말모이’를 만들기 시작했지만 그는 서른 아홉이라는 젊은 나이로 아쉽게 삶을 마치게 된다.

주시경은 평생을 오로지 우리말과 우리글을 사랑하는데 바쳤고 한글의 큰 뜻이 바로 설 수 있도록 든든한 주춧돌이 되었다.뿐만 아니라 국어 문법 연구로 한글을 더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 오늘날 우리말과 우리글을 자유롭게 쓸 수 있게 된 것도 한글을 아끼고 사랑한 많은 이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책 끝부분에 사진으로 보는 주시경 이야기와 연표는 한눈에 쉽게 흐름을 알 수 있게 했고 주시경과 함께한 학자들도 자세히 소개되어 의미가 있다.

우리글이 얼마나 과학적이고 아름다운지 훈민정음의 우수성을 알리는데 평생을 바친 한글 학자 주시경 선생.꿈많은 이 나라의 아이들이 새싹인물전을 읽고 올바른 역할 모델로 삼아 자신의 꿈을 향해 한발 더 다가설 수 있게 될 것이다.’한글’우리말과 글을 제대로 알고 바르게 사용하여 후세에도 길이 보존하려면 우리말과 글을 아끼고 사랑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