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친구가 사라질 때

시리즈 블루픽션 9 | 매튜 딕스 | 옮김 정회성
연령 13세 이상 | 출판사 비룡소 | 출간일 2013년 12월 27일 | 정가 13,000원
구매하기
이매지너리 프렌드 (보기) 판매가 11,700 (정가 13,000원) 장바구니 바로구매
(10%↓ + 3%P + 2%P)
구매

이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놀란 것은 작가가 선택한 화자가 ‘상상 친구’라는 것이다.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상상친구. 이야기를 이끌어 갈 부도는 맥스의 상상에 의해 태어난 존재다. 맥스의 눈에만 보이고 맥스만이 그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책의 처음 대목은 맥스가 부여한 능력에 의해서 한정되는 부도의 능력 범위, 그리고 맥스와 소통하며 서로의 유대를 강화하며 존재를 확인하는 부도의 모습과 그 둘의 일상을 보여준다. 맥스에 의해 자신보다 조금 더 어른스럽게 캐릭터가 설정된 부도는 맥스에게 여러 가지 충고를 해주거나 화장실에 있을 때 망을 봐주거나 하는 일들을 하고, 맥스가 잠을 잘 때는 주유소겸 편의점이나 어린이 병원 등지를 떠돌며 세상의 이모저모를 배워나간다. 물론 맥스가 상상한 능력범위 안에서 세상을 이해하므로 부도의 눈으로 보는 세상은 엉뚱하게 이해되고 사건 자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초등학교 3학년인 맥스는 또래에 비해 관계형성을 잘 하지 못하는 소극적이고, 사회성이 부족한 아이이다. 그러기에 같은 또래의 아이들에게서는 이미 사라진 상상친구를 아직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부도는 다른 아이의 상상친구인 그레이엄이 사라지는 것을 목격하고 자신도 언젠가는 사라질 운명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책의 전반부는 작품의 무대가 될만한 여러 지대들을 건설하는 데 페이지가 할애된다. 맥스의 집, 맥스의 학교, 부도가 가끔씩 가는 편의점겸 주유소, 그리고 어린이 병원 등등의 장소들이다. 200 페이지가 넘도록 아무런 사건도 없이 이런 일상사들이 나열되어서 책읽기가 지리해지던 차에 드디어 사건이 발생한다. 보조교사인 패터슨선생님이 맥스를 자신의 집으로 몰래 태워간 것이다. 즉 맥스가 유괴 당한 것이다. 이 사실을 아는 사람은 오직 부도 뿐이다. 부도는 자신이 어떻게 하면 맥스를 걱정하는 척 주변사람들에게 연기하며 다음 일을 준비하고 있는 패터슨선생님에게서 맥스를 구해낼 수 있을지 머리를 짜내기 시작한다.

사건이 발생한 다음부터는 책읽기에 조금 더 가속이 붙기 시작한다. 사건이 박진감있게 흘러가는 것은 아니지만 맥스를 구하기 위한 부도의 가상한 노력이 마음 자락을 붙잡고 놓아주지 않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3학년 아이의 상상에 의해 창조된 이 연약한 존재가 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이라고는 문을 통과하는 것 뿐이고, 자신의 말을 들어줄 이라고는 감금상태에 있는 맥스와  다른 아이들의 상상친구가 고작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자신의 창조자에 대한 무한 사랑을 확인한 이 연약한 존재는 대단한 일을 해낸다. 다른 이의 상상친구 오스왈드의 도움을 받아 맥스가 감금된 방의 문을 여는 데 성공한 부도는 마침내 자신이 꼭 해야할 결단을 내린다. 자신이 상상친구라는 것을 밝혀 자신에게 의존하지 말고 스스로 갇힌 곳에서 걸어나와 집으로 향해 걸어가야 한다고 맥스에게 말한 것이다. 상상친구가 상상의 존재라는 사실을 알아버리면 아이는 그를 잊게 된다. 산타클로스의 실체를 알아버리는 것과도 같다. 그렇게 부도는 자신의 죽음을 택한다. 맥스는 극단적인 경험을 통해서 자신 안에 세상을 향해 혼자 걸어나갈 수 있는 힘을 확인하게 되었다. 여느 아이들보다 조금 늦었지만 이제 상상친구를 잊고 성장할 준비를 마친 것이다.

책을 다 읽고나서 깨달았다. 이 책이 지루한 이유는 책 속의 모든 사람이 착하게 그려진다는 것이다. 세상과 잘 소통하지 못하는 맥스와 그에 의해 탄생한 부도의 눈에는 모두가 그만한 이유가 있는 행동을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심지어 맥스를 유괴한 패터슨 선생님에게도 자신의 죽은 아들에 대한 그리움, 맥스를 향한 사랑 때문에라는 미워하지 못할 이유를 부여해준다. 부도 자신은 어떠한가? 자신이 사라지기 싫어서  맥스에게 자신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맥스의 성장을 방해하고 있지는 않았던가! 그러기에 모두가 자신만의 이유가 있겠지만, ‘어쩌면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악마일지도(p.486)’ 모르는 것이다. 우리의 사랑의 방식이 누군가에게 지독한 독이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