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블루픽션시리즈78] 굿바이 조선-김소연 장편소설

시리즈 블루픽션 78 | 김소연
연령 13세 이상 | 출판사 비룡소 | 출간일 2015년 6월 5일 | 정가 11,000원

1905년 조선 이야기

 

 

그 동안 조선 말을 배경으로 한 여러 소설은 읽어보았지만,

이번 처럼 1905년이라는 시점과 러시아에서 파견한 탐사대를 주인공으로 이끈 소설은 처음 접했다.

 

 

 

 

<굿바이 조선>은 청소년 소설로 출간되긴 했지만

역사소설을 즐겨 읽는 이들이라면 누구나가 편견없이 읽어도 좋을 소설이다.

 

 

잠시 <작가의 말>을 들어보자!!

 

젊은 탐사객의 눈을 통해 바라본 1905년의 조선, 그 처연한 국운의 틈바구니에서 꿈틀대던 민중이 있었다. 한반도를 둘러싸고 힘겨루기를 하던 제국열강의 눈에는 결코 보이지 않았던 사람들이 있었다. 제 자신과 가문, 그리고 그것을 지탱해 줄 명분인 왕실의 안위에만 골몰하던 집권층은 외면하던 생명들이 있었다. 그들은 앞으로 닥쳐 올 운명에 절망하지도 굴복하지도 않았다. 굴복할 수 없었다. 절망할 수도 없었다. 굴복과 절망은 곧 죽음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정말 치열하게 살았을 우리나라 1905년의 모습이 그려지지 않는가?

일본과 러시아의 침투 속에 또 우리나라의 자원을 강탈하려는 이들 두 나라에서 우리나라는 주권을 거의 상실한 채

미래의 불투명 속을 달리는 듯한 답답한 기운이 느껴진다.

 

 

이쯤에서 <굿바이 조선>에 등장하는 탐사대 4인을 소개한다.

조국 러시아의 비극을 품은 소령 알렉세이

산전수전, 다혈질의 퇴역 군인 비빅

러시아로 귀화한 조선인 통역관 니콜라이 김

가마실을 벗어나 처음 세상 밖으로 나온 소년 근석

 

 

우리나라의 신분제가 알렉세이라는 러시아인에게 비춰지는 모습이 인상 깊게 남았다.

알렉세이는 근석에게 묘한 동정심이랄까 자신이 이끄는 탐사대원으로 끌어안는 모습 또한 인상적이다.

 

 

“소나무의 질이나 크기만 봐도 코레야의 산림은 꽤나 값나가는 자원이 틀림없습니다. 열강들이 코레야의 산림 채취권을 놓고 다투는 이유를 알겠군요.” 본문 85페이지 중에서 – 러시아 탐사대의 목적은 바로 산림 채취권과 관련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실제 우리나라는 산림 채취권을 비롯 엄청난 자원을 강탈당하였음을 모르는 이 없을 테다.

 

동학군의 난동으로 비춰진 1905년의 현실이라던가 하층민으로 살아가는 근석에게 음식이란 소고기는 난생 처음 맛보는 음식이요, 배는 어머니 제사 때 딱 한 번 맛보았던 음식즈음으로 묘사된다.  

 

<굿바이 조선>에서 궁금증을 불러 일으키는 인물을 꼽으라면 단연 ‘알렉세이’다. 여러 대목에서 알렉세이는 근석에게 묘한 감정을 드러낸다. 동학군 난동 때 알렉세이가 근석을 찾아헤매는 장면이 있는데 니콜라이와의 대화에서 역시 그 궁금증을 폭발시킨다. “열다섯 살이라지만 제게는 아직 어린아이만 같습니다. 그런 아이가 폭동에 휘말려 목숨을 잃는 꼴은 다시는 보고 싶지 않습니다.” “다시는?” -본문 118페이지 중   

 

 

 

 

러시아를 ‘아라사’라 불리는 건 이젠 제법 적응이 되었는데 역시 시대적 배경이나 인물적 배경이 그러해서인지 평소 잘  접하지 않는 생소한 단어들이 제법 나온다. 본문에서처럼 ‘베르스타’라던가 ‘겨끔내기’와 같은 단어들이 그러하다.

 

– 베르스타 :  1067미터에 해당되는 러시아의 길이의 단위(킬로미터 단위와 비슷하다고 이해하면 될 듯 하다) 

– 겨끔내기 :  서로 번갈아 하기

 

역시 모르는 단어는 곧바로 찾아보는게 상책이다.

 

소설 후반부로 가면 ‘석전’이라는 돌팔매놀이가 등장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에 전해져 내려오던 ‘석전’ 놀이는 소설에서와 같이 일본의 제재 속에 중지 되기도 하였다 한다. [굿바이 조선]을 읽다보면 마치 내가 1905년에 함께하는 착각이 들 만큼 빠져드는 현실감있는 스토리여서 더욱 재미나게 읽게 된다.

 

[굿바이 조선]은 러시아인 알렉세이 시각에서 바로 본 우리나라의 모습도 인상적이지만 16세 근석이 우리나라 물정을 모르다 탐사대와 함께 전국을 돌아다니며 현실에 눈 뜨게 되고 지극한 평민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내 뱉는 근석의 말들도 인상적으로 느껴지는 소설이다. 1905년 우리나라의 모습을 이렇게 두 인물을 통해 각각 바로 볼 수 있는 소설이 바로 [굿바이 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