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룡소 ] 다윈의 꿈틀꿈틀 지렁이 연구
찰스 다윈은 진화론을 주장한 19세기 영국의 과학자이다.
다위는 [종의 기원] 이라는 책세어 생물이 주변 환경에 맞게
오랜 시간 동안 조금씩 변해 간다고 발표 했다.
[ 다윈의 꿈틀 꿈틀 지렁이 연구 ] 책 속으로
내가 다윈 책을 처음 읽은 것은 대학교에 갓 들어갔을 때다.
동물과 자연을 좋아해 대학교에서 해양 생물을 공부 하던 나는 다윈의 책을 즐겨 읽었다.
그 중에서도 [비글호 항해기] 를 좋아 했다.
이책은 다윈이 5년동안 배를 타고 세계를 돌아 다니며 관찰하고 생각한 것을 기록한 책이다.
나는 ‘ 다윈처럼 전 세계를 탐험 하고 싶다.’ 고 생각하며 책에 푹 빠져 들었다.
< 주인공이 다윈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가 여기에 있었네요
다윈이 5년동안 배를 타고 세계를 돌아 다니며 관찰을 했다는 사실도 오늘 새롭게 알게 되었어요
주인공은 동물학자예요 북쪽 바다에서 물개를 관찰하거나 남쪽 섬에서 극락조를 조사하는 일을 하지요
어는날 물개와 극락조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려고 책을 찾다가 우연히 다윈이 쓴 지렁이에 관한 책을 발견하게 되죠 >
[ 다윈의 연구 이야기 속으로 ]
그 책 제목은 [ 지렁이가 만드는 부식토와 지렁이의 습성 관찰 ] 이었어요
다윈은 1881년 이책을 내고 이듬해 일흔세 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고 해요
다윈이 처음 지렁이 연구를 시작한 것은 스물여덟 살 때였어요
다윈은 지렁이라는 조그맣고 보잘 것 없는 생물의 40년 넘게 관찰하고 연구를 한 것이에요
< 이 부분을 읽으면서 정말 다윈이라는 사람이 대단하다는 것을 느꼈어요
보통 사람들은 그냥 지나가 버렸을 작고 보잘 것 없는 생물을
40년 넘게 관찰하고 연구 한다는 일이 쉬운일을 아니였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
다윈이 지렁이 연구를 어쩌다가 시작하게 되었을 까요
다윈은 비글호 항해를 마치고 돌아 온 지 얼마 안 됐을때 한가지 생각을 하게 되었어요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있는 도버 해협의 하얗게 빛나는 백악 절벽을 만든 건 물고기 였을 꺼라는 생각
다윈은 가설을 세웠어요
첫번째 산호초는 바다 밑에 사는 동물인 산호가 죽고 남은 유해와 사호의 분비물 탄산칼숨이 쌓인 것
두번째 산호초 주위의 물고기 비늘돔은 강한 이빨로 산호를 씹어 먹는다.
세번째 비늘돔의 배속을 열어 보면 부서진 산호 가루가 있다
네번째 이렇게 비늘돔이 부서어 모래가 된 산호 가루가 바다 밑 바닥에 쌓여 층을 이룬다.
다서번째 바다밑 산호 언덕이 물 위로 올라 오면 백악 언덕이 된다.
물론 증명 할 수 없는 가설이에요
다시 머난먼 열대 바다 백악언덕이 생기려면 몇 백년이나 걸리기 때문에 직접 확인하기도 어려우니까요
이 가설을 듣고 있던 다위의 외삼촌께서
” 물고기가 백악 언덕을 만들었다면 지렁이도 목초지를 만들 수도 있지 않을까 “
다윈과 삼촌은 집 근처 목초?악 언덕은 형성 되는데 시간이 아주 오래 걸리지만 목초지라면 직접 눈을 확인 할 수 도 있을지 모른다 생각이였죠
10년쯤 전에 거름으로 석회를 뿌려 둔 곳이있었어요
7.5센티미터쯤 되는 깊이에서 하얀 석회가 나왔어요
그리고 석회 위쪽에 있는 흙은 곱고 촉촉했어요
석회를 뿌린지 10년 만에 지렁이가 눈 흙똥에 이렇게 파묻힌 다는 것은 굉장한 발견이였어요
다윈은 목초지에서 발견한 사실을 런던 지질학회에 발표 했어요
하지만 학자들은 지렁이 같은 보잘것 없는 동물이 그런 엄청난 일을 할리가 없다고 생각 했어요
< 사소한 대화 여러가지 궁금증이 다윈을 지렁이 연구에 빠지게 만들었다는 것을 느꼈어요
우리 아이들도 호기심을 가지고 여러가지를 생각 하는 사람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도 드네요
그리고 다른 학자들이 다위의 발표한 이론을 중명 할 수 없다고 발표한 내용을 취소 했지만
증명 할 수 없는 이론을 말하는 것은 과학자로써 좋은 태도가 아니라고 인정하면서
포기 하지 않고 다시 연구를 시작하는 모습에서
우리 아이들도 포기 하지 않는 정신을 배웠으면 했어요>
1842년 9월 14일 다윈은 부인 엠마와 두 아이를 데리고 런던에서 조금 떨어진 다운 마을로 이사를 했어요
다윈은 ‘ 다운 하우스 ‘ 라고 불리는 이집에서 평생을 살았어요
다윈이 [ 종의 기원 ] 을 쓴 곳도 이곳 이라고 해요
다운 하우스 주위에는 가파르지 않은 언덕과 목초지가 끝없이 펼쳐져 있고 목초지 사이에는 바람을 막아 주는 방풍림이 있었어요
다윈은 다운 하우스에 이사 온지 3개월 쯤 되었을 때 다윈은 지렁이를 다시 연구해 보기로 마음 먹었어요
다윈이 지렁이 연구를 다시 해 보기로 마음 먹은 이유는
목초지에도 산책길에 떨어진 낙엽에도 지렁이 똥이 많이 있었고
보잘것 없는 지렁이가 그런 일을 할 리 없다고 반대했던 사람들을 설득 할 수 있는 논문을 쓰고 싶었어요
하지만 지렁이가 흙을 곱게 만들고 땅 모양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해 할지 걱정이 되었어요
다윈은 우선 땅에 뿌린 석회가 지렁이 똥으로 파묻혀 가는 과정을 직접 눈으로 확인해 보기로 했어요
1842년 12월 20일 다윈은 부서진 석회 조각들을 손수레 가득 싣고와 십 뒤 뜰과 이어지는 목초지 한쪽에 뿌렸어요
그리고 서른세 살의 다윈은 생각 했어요
이 실험의 결과를 보려면 몇년이나 기다려 할까
석회 조각이 파묻히기 까지 몇 년은 걸릴 것이고 지렁이가 부수는 흙의 양을 되도록 정확하게 계산 하려면
적어도 예순 살까지는 살아야 겠다고 생각 했어요
< 다윈은 포기 하지 않았어요
아무리 시간이 오래 걸린다 하여도 자신의 이론을 반대 했던 사람들에게
보잘것 없는 지렁이가 한 일들을 증명해 보이고 싶었던 것이에요
다윈의 끈기와 절대 포기 하지 않는 정신에 박수를 보냅니다. >
다윈의 하루 하루는 매일 규칙적이었어요
다윈은 책을 읽고 연구를 하는 틈틈이 마당이나 온실에 나와 식물을 관찰하거나 산책을 했어요
비글호 항해를 하는 5년동안 몸이 많이 약해진 탓에 오랜 시간 앉아서 연구를 할 수가 없었다고 해요
산책 때마다 다윈은 목초지를 돌아 봤어요
지렁이는 매일 같이 똥을 쌓아 올렸고 그것은 비와 바람에 무너졌어요 그런일은 날마다 되풀이 되었어요
[ 지렁이는 어떻게 땅을 곱고 평평하게 만들까 ]
지렁이는 땅을 파서 돌멩이를 파 묻을 뿐 아니라 흙을 아주 곱고 촉촉하게 만들었어요
지렁이는 긴 소화관에는 단단하고 근육이 잘 발달된 모래 주머니가 있어요
다윈은 서른 여덟 마리의 지렁이를 해부했는데 그중 스물다섯 마리의 모래 주머니에 조그만 모래 알갱이가 들어 있었다고 해요
다윈은 지렁이가 모래 주머니 속의 모래 알갱이들을 맷돌처럼 사용하여 삼킨 흙을 잘게 부수는 것이라고 생각 했어요
다윈은 지렁이 똥은 어떻게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지, 흙 속에는 지렁이가 얼마나 많이 살고 있을지, 지렁이는 똥을 얼마나 눌지 등
지렁이에 관한 궁금증과 연구를 끈임 없이 하였어요
29년 만에 땅을 파다
1871년 11월 말 다윈은 마침내 땅을 팠다. 다윈은 어느덧 예순두 살이 었다.
삽으로 땅을 50 센티미터 정도 파냈더니 하얀것이 보였다. 바로 다윈이 29년 전에 뿌려 둔 석회 조각이 었다.
29년동안 1년 마다 약 6 밀리미터씩 늘어난 셈이다.
다윈의 생각 보다도 실제 지렁이느 더 활발하게 활동했다.
다윈은 지렁이가 평평한 땅에서 1년에 6 밀리미터 정도의 깊이로 흙똥을 만든다고 결론을 내렸다.
지렁이에 관한 책을 완성하다
1881년 다윈은 지렁이 연구에 관한 연구 결과를 모아 [ 지렁이가 만드는 부식토와 지렁이의 습성 관찰 ]
이라는 책을 냈다. 진화론으로 유명한 대과학자 다윈이
지렁이라는 조그마한 생물을 40년 동안 꾸준히 관찰하고 실험해 책을 쓴 것이다
지렁이는 누구나 알고 있지만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는 동물이다.
나는 그런 지렁이가 온 세상 땅을 기름지게 일군다는 것도 놀라웠지만
그것을 증명하기 위해 평생을 연구한 사람이 있다는 사실에 더욱 감격했다.
주인공은 다윈에 관한 책을 읽고
다윈이 세상을 뜨기 반년 전에 지렁이에 대한 책을 완성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다 문득 1년에 6밀리미터명 30년 이면 17~18 센티미터 150년 후인 지금은 그 다서배 정도 되지 않을까~
그리고 눈으로 직접 확인을 하고 싶어 졌다.
그래서 다운 하우스의 마당을 파 볼 수 있게 허가를 받고 영국에 도착 했다.
밭과 목초지가 넓게 펼쳐져 있었다
흙이 있는 곳에는 어디든디 지렁이가 있다. 조그만 지렁이들이 쉴 새 없이 지구의 흙을 갈아 엎고 있는 것이다.
다운 하우스에 도착하니 관장 모리스씨가 반겨 주었다.
지금의 다윈 박물관이 된 다운 하우스는 다윈이 살던 모습 그대로 전시 되어 있다고 한다.
주인공은 다윈의 마음으로 주변을 관찰하고 조사해 보았다.
좀 더 따을 파 보고 싶고 좀 더 조사해 보고 싶었다.
점점 더 많은 것들이 궁금해 졌다.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관찰과 조사는 계속 되어야 한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그리고 모든것을 궁금해 하고 알고 싶어 한다는 것이
모든 일의 시작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우리 아이들도 이 책을 읽으면서 모든 사물에 관심을 가지고
눈길을 주게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