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어처구니 이야기]가 출간되었다는 소식을 들으면서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알고 있는 ‘어처구니’는 맷돌을 돌릴 때 사용하는 손잡이를 지칭하는 것이랍니다.
그런데, 도대체 이 ‘어처구니’를 어떻게 이야기를 풀어놓았을까 많이 궁금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선뜻 구입을 못하고 있다가 이번 독서감상문대회에 이 책이 있기에 아이의 반응을 보려고 구입을 했습니다.
그리고는 아이들과 너무도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첫 장을 펼치면 이런 그림이 나옵니다.
정말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제목이 거꾸로 되어 있습니다.ㅎㅎ
이야기는 이렇습니다.
옛날 아주 먼 옛날 하늘나라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말썽꾸러기 어처구니들을 하늘나라 임금님이 잡아들이라고 하지요.
이구룡:거짓말로 하늘나라를 혼란스럽게 만든 죄
저팔계:술을 먹고 하늘의 천도복숭아 나무를 몽땅 뽑아 버린 죄
손행자:하늘나라 임금님과 똑같은 허수아비를 만들어 선녀들을 골탕 먹인 죄
사화상:하늘나라 임금님이 아끼는 연못의 물고기를 죄다 죽인 죄
대당사부:사람들의 죽는 날을 똑같이 만들어 큰 말썽을 일으킨 죄로 잡히게 됩니다.
그런데, 하늘 끝에 손이라는 못된 귀신이 살고 있는데, 사람들을 해코지하고 너무도 험상궃어 모두 무서워했죠.
하늘나라 임금님은 어처구니들에게 손을 잡아 오면 죄를 모두 용서해주겠다고 합니다.
대당사부는 하늘도서관에서 사흘 밤낮을 책만 읽고 난 뒤,어처구니들에게 각자의 특기를 살려 손을 잡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이구룡은 입이 두개라 다른 몹소리 내는 연습을 하고
저팔계는 방패연과 청동그릇을 만들고
사화상은 청동그릇에 물을 가득 채우죠.
그런데, 손행자는 말참견만 하다가 뒤늦게 엄나무를 찾으러 갑니다.
엄나무 껍질을 벗겨 밧줄을 구백아흔아홉 자 길이로 만들어야 하는데
엄나무 껍질이 조금 모자라 생김이 비슷한 옆에 있는 두릅나무로 마루리를 합니다.
밤이 되어 어처구니들은 자신들이 연습한 것들을 사용하여 손을 잡게 됩니다.
하지만, 잡은 손을 하늘나라로 띄우며 밧줄이 끊어지는 바람에 손을 놓치고 말지요.
그래서 지금도 어딘가에 손이 살고 있고, 어처구니들은 하늘나라 임금님이 다시 잡아다가 벌을 주었는데, 궁궐 추녀마루 끝에서 손으로부터 사람들을 지키게 했답니다.
책 뒷부분에 보면 부연설명이 나옵니다.
<어처구니가 뭘까요?>
궁궐 추녀마루 끝자락에 있는 흙으로 만든 조각물을 일컫기도 하는데, 이 조각물의 본디 이름은 잡상이래요.
오래 전 중국 당 태종의 꿈속에 밥마다 나타나는 귀신을 쫓기 위해 병사를 지붕 위에 올린 데서 유래되었대요.
그리고, 유몽인의 ‘어우야담’에 의하면 대당사부,손행자,저팔계,사화상, 마화상,삼살보살,이구룡,천산갑,이귀박,나토두란 이름으로 불렸대요.
<손>이란 민속신앙에서 날수에 따라 동서남북으로 다니면서 사람들을 괴롭히는 귀신 이름이래요.
우리가 왜 결혼식 날이나 이사하는 날에 손 있는 날과 손 없는 날을 나누어 하듯이 손이란 귀신은 우리 생활에 많은 영향를 주고 있지요.
<어처구니없다>는 말은 서민들 집의 기와지붕 올리기에 익숙한 기와장이들이 궁궐을 지을 때 어처구니들을 깜박 잊고 안 올린 데서 생긴 말이래요. 어처구니는 궁궐 기와지붕에만 올렸대요. 기와장이의 입장에서는 사소한 실수일지 모르지만 왕의 입장에서 보면 궁궐의 위엄과 건물 안전에 대한 커다란 실수이기에 어이없는 일을 저질렀다는 뜻으로 쓰인대요.
책을 다 읽고 나면 참 많은 것을 얻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자연적으로 엄나무와 두릅나무도 비교할 수 있는 기회도 되었구요.
엄나무에 대한 일화를 한가지 얘기하고 싶습니다.
7년 전쯤 사무실을 이전하며 시골 근처로 오게 되었는데, 뒷집 주변에 엄나무가 몇 그루 있었습니다.
직원들이 그 나무의 이름에 대해 이야기 하다가 서로 다른 이름을 말하기에 내기를 걸며 확인을 했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제가 알고 있는 이름은 개두릅 나무였고, 다른 직원은 엄나무로 알고 있었죠.
확인 결과 나무 이름은 엄나무이고 개두릅나무는 지방 사투리였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물로 참두릅을 좋아하지만, 제대로 맛을 볼 줄 아는 사람들은 엄나무의 개두릅을 더 찾는다고 합니다.
개두릅이 더 쌉싸름한 맛이 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