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가 자라면서 책을 좋아하고 가까이 했으면~하고 바라듯이 글쓰기도 마찬가지이다.
책을 많이 보게 되면 자연스럽게 글쓰는 능력도 키워진다고 하지만 읽기와 쓰기의 차이점을 어느 정도는 인정해야 한다. 그래서 더더욱 글쓰기를 어떻게 우리 아이에게 접근시켜야 하며 엄마가 어떻게 이끌어 주어야 하는지가 중요하다.
학교에서는 그저 선생님이 일기 검사만 하고 글쓰기 숙제만 내어줄 뿐 그에 대한 지도는 부족하다. 이 책에서도 이러한 점을 지적했다. 그래서 아이가 글쓰기 경험을 쌓는 데는 가정이 이상적인 환경이라는 것이다. 말과 글을 가지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아이는 어떤 분야에서건 능력을 발휘해 자신의 직업과 지역 사회에서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될 것이다라는 것도…
비단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 또는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글쓰기를 잘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일기쓰기가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뿐만 아니라 자신의 일상을 글로 옮겨 적으며 즐거웠던 일, 기뻤던 일, 슬펐던 일, 힘들었던 일, 괴로웠던 일…등등의 여러 상황에서의 마음을 다시 되돌아보며 글쓰기를 통해 배출해내는 힘이 있다는데 그 이유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즐겁고 좋은 일에 대해서는 마음의 기쁨을 한껏 더 누리게 되고 힘들고 슬펐던 일에 대해서는 마음의 응어리를 풀어낼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이것들이 쌓이고 쌓여 살아가는 힘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은 홈스쿨링으로 아이의 글쓰기를 어떻게 할것인가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과 함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는 내가 우리 아이와 시도했던 방법들, 지금 해나가고 있는 방법들도 있고, 새롭게 시도해보고픈 방법들도 있다. 아이의 교육에 있어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아이가 즐거운 마음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부모가 함께 하는 것이다. 아이에게 시키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하는 즐거움을 선사해줄 필요가 있다.
보통 엄마들은 아이를 가졌을때 그 감사한 마음을 담아 태교일기를 쓰기 시작한다. 조금 부지런한 엄마들이라면 아이가 자라면서 육아일기도 가끔 적는다. 하지만 대부분 유아기를 지나면서부터는 그것이 중단되고 만다. 글을 쓴다는 것이 어른들에게도 부담이 되고 머리아픈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가 한글을 읽기 시작하게 되면 자신에 대해 엄마가 쓴 글을 보기 시작한다. 엄마 뱃속에 있을때 내가 이랬구나~ 내가 말을 안들어서 엄마가 마음이 많이 아팠겠구나~ 이때는 정말 재밌었는데~ 하며 엄마의 글을 읽는걸 무척이나 즐거워한다. 그래서 육아일기는 아이가 청소년이 될때까지도 써주는게 우리 아이가 따뜻한 감성을 가진 아이로 자라는데 도움이 된다. 우리 아이들의 육아일기를 묶어낸게 3권씩이 되었다. 아이들이 앞으로도 계속 써달라고 하는걸 보면 위의 사실을 입증해주는 셈이다. 아이에게 일기를 쓰라고 강요할것이 아니라 엄마가 함께 쓰는 일기가 아이에게 더 많은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아이들은 말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정말 뜬금없는(?) 말이나 너무나 예쁜 말들, 황당한 말들을 쏟아내기도 한다. 이러한 시기는 정말 아주 한때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들의 그 소중한 말들을 포스트잇이나 작은 수첩에 기록해두면 그것 또한 하나의 글이 된다. 그것들을 모아두다보면 하나의 작은 시집이 될 수도 있다. 아이에게 글쓰기가 아주 쉽고 재미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한 예가 될 것이다.
이 책에서 말해주는 여러가지 방법들 중에서 내가 시도해 봤던 것은 이메일을 이용하는 것이다. 첫째가 컴퓨터를 이용하고 이메일계정을 만들면서 가끔씩 편지를 주고받곤 한다. 물론 아빠와도 마찬가지이다. 같은 집에 함께 살고 매일 보고 지내지만 이렇게 이메일을 통해 주고받는 이야기는 또다른 느낌을 전해준다.
두번째는 손편지와 가족일기이다. 첫째가 학교에 들어간 이후에는 내가 집에 없을때 아이가 집에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그럴때는 가능하면 아이에게 메모를 남겨놓는다. ’엄마가 모임이 있어서 나가니까 들어오면 전화해! 손 씻는거 잊지 말고! 오늘도 화이팅! 사랑해~’ 이렇게 간단하게 남겨놓는 메모가 아이에게도 소중하게 느껴지나보다. 어느 날 아이가 엄마의 메모를 모아둔 수첩을 보여주었다. 계속 모을거라고… 엄마가 밖에 나갈 때 메모를 안남길 수 없게 만드는 딸이다. 우리집은 혼자서 쓰는 일기가 아니라 가족이 함께 쓰는 일기장을 만들었다. 서로에게 하고싶은 이야기도 하고, 그날 있었던 일도 기록하려고 했지만 쉽지는 않았다. 지금도 여전히 진행중이다.
세번째는 놀이를 통한 글쓰기와 나만의 책만들기이다. 우리가 어렸을때는 책을 읽고 무조건 해야하는 것이 독후감 쓰기였던 것 같다. 하지만 책읽기의 즐거움을 심어주기 위해서 무조건적인 글쓰기는 피해야 한다. 이 책에서도 지적한 바이다. 놀이와 연계한 글쓰기가 자연스럽고 즐겁게 글을 쓰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책을 읽고 나서 또는 관찰을 하고, 어떤 주제로 글쓰기를 했을 때 나만의 책을 만들어 본다면 아이는 책의 소중함을 알게 되고 글쓰기 능력까지 키우게 된다. 이 책의 작가 또한 이러한 점을 강조하여 책만들기 방법까지 제시해주고 있다.
이외에도 생활문 쓰기, 가족신문 만들기, 동시 쓰기, 글쓰기 대회 참가 등 여러가지 글쓰기 방법들을 제시한다. 집에서 어떻게 글쓰기를 지도할까 고민했던 많은 홈스쿨링 엄마들에게 하나의 지침서가 되는 책이다.
나 또한 이러한 방법들을 생각하고 실천해오고 있지만 그것들을 더 견고하게 다지는 계기가 되어준 책이었다. 여름방학을 맞아 아이들과 동시쓰기 프로젝트 수업을 구상하고 있었는데 때마침 만나게 된 이 책에서 열다섯번째 꼭지 ’언어의 마슬, 시를 경험하게 하라’ 를 통해 그 구체적인 방법들을 어떻게 전개해나갈지 틀을 잡게 되었다. 적절한 시기에 만나게 된 책이어서 더욱 반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