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동생을 찾아서

시리즈 비룡소의 그림동화 217 | 글, 그림 모리스 센닥 | 옮김 김경미
연령 6세 이상 | 출판사 비룡소 | 출간일 2011년 12월 2일 | 정가 9,000원
수상/추천 내셔널 북 어워드 외 4건

 

  현대 그림책의 거장 모리스 센닥의 그림책입니다.

안데르센 상, 칼뎃콧 상, 미국도서관협회상, 국가예술상, 린드그렌 문학상 등 유수의 아동 문학상을 두루 수상한 책이라고 하네요.

저희 집에는 이 작가의 책이 한 권 있긴해요.

‘깊은 밤 부엌에서’라는 책입니다.

센닥의 대표적인 책이라고  할 수 있지요.

하지만 그렇게 정이가는 작가는 아닙니다 -.=

이 책 역시 센닥 작가의 세계와 가치관이 잘 담긴 책이라고 볼 수 있는데 여전히 전 살짝 거부감이.

제가 그림책을 덜 보았나봅니다 흐 -

 

 


 

 

잃어버린 동생을 찾아서 / 모리스 센닥 / 비룡소

 

 

 

내 가족을 잃어버린다는 상상만으로도 정말 아찔하죠.

이 이야기는 작가가 미국의 가장 비극적인 유괴 사건 중 하나인 ‘린드버그 사건’에 영감을 받아 창작한 이야기라고 합니다.

 

 

출판사의 서평을 좀 더 담아보자면요…

 ‘린드버그 사건’은 미국의 전설적인 비행사 찰스 린드버그의 어린 아들이 자신의 방에서 유괴되고 끝내 주검으로 발견된 사건으로,

센닥은 훗날 오래된 신문에서 희생된 아이의 사진을 우연히 발견하고 아이들의 위태로운 운명에 슬픔을 느끼게 된다.

이에 요람에서 사라진 아기, 창문에 놓인 사다리를 통해 들어온 침입자 등 ‘린드버그 사건’을 연상시키는 요소들을 작품 속에 집어넣되,

먼 곳에서 언제나 아이들을 바라보고 조언을 아끼지 않는 다정한 아빠의 존재와

사라진 아기가 무사히 집으로 돌아오는 행복한 결말로 이야기를 마무리하며 추모의 뜻을 담아냈다.

또한 센닥은 이 작품에 희생자의 초상을 그려 넣어 희생자를 기리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나쁜 어린이들을 잡아가는 심술궂은 정령으로 알려져 있는 ‘고블린’은 길 잃은 어린 영혼들을 상징하는 존재로

 변모시켜 수많은 어린이 유괴 실종 사건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운다.

한편, 위험을 무릅쓰며 동생과 가정을 지키기 위해 애쓰는 주인공 아이다는 모리스 센닥의 누나를 모델로 한 인물로,

센닥은 어린 시절 바쁜 부모님을 대신해 자신을 돌봐 주곤 했던 누나에 대한 애정을 아이다를 통해 드러냈다.

제가 책만 봐서는 알기 어려운 내용인지라 담아봤습니다.

 

 

 

 

 

 



 

이런 화풍 만나보신 적 있으신가요?

꽤나 예스러운 정취가 물씬 풍기고 고전적이라고 해야하나요? 그런 화풍입니다.

 

인물들의 머리카락이 한 올 한 올 표현되고

치맛자락의 주름도 정말 세밀하게 표현한 듯해요.

 

그림책을 보면서 저기 왼쪽에 있는 인물은 뭔가 싶었답니다.

정령들인지….

느낌은 그닥 좋지 않네요 ㅎ

 

 

 

 

 



 

아빠의 빈 자리를 대신해서 엄마가 정신 차리고 해야하는데

엄마는 걱정과 불안감에 지쳐보이고 아주 무기력해 보입니다.

축 쳐진 팔과 다리, 어두워 보이는 얼굴 표정.

뒤에서 아이가  울어도 신경도 안 쓰고 말입니다.

 

동생을 돌보는 일은 언니인 아이다의 몫이 되고 있네요.

 

 

 

 

 

 



 

아이다의 모습에서 육아의 고통과 어려움이 느껴집니다.

사랑하는 동생이지만 보살핌에 대한 부담감에 등 돌리고 싶을 때…

그 마음이 많이 전해져오니 아이다를 위로하게 되네요.

 

 

 

 

 

 



 

잠시 부담감과 책임감에서 벗어나고 싶었을 뿐인데…

아이다에게 더 큰 시련이 닥쳐왔어요.

못된 고블린이 동생을 데려가 버린 것이예요.

얼굴도 보이지 않는 저 인물들이 고블린이군요.

 

 

 

 

 

 




 

아이다는 동생이 사라진 것을 알고 동생을 찾으러 떠납니다.

창 밖을 향하던 해바라기도 동생을 걱정하고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아 집 안으로 향하게 그렸네요.

이게 작가가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었던 메시지라고 합니다.

작가는 이렇게 그림을 통해 상징적인 의미를 전달했다고 하네요.

 

 

 

 

 

 

 



 

동생을 찾아낸 아이다는 동생을 데리고 간 고블린의 정체를 알게 되었어요.

고블린은 모두 어린 아기의 모습을 하고 있었던 거에요.

이는 길을 잃은 어린 영혼을 상징하는 것으로

어린이 유괴 사건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했는 작가의 의도였다고 합니다.

 

 

 

 

 

 

 



 

 

 

동생을 무사히 찾아온 아이다.

아빠의 부재와 엄마의 외로움, 동생을 잃어버린 혼란스럽고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최선을 다해서 동생과 가정을 지켜낸 용감한 소녀네요.

 

동생도 아이다와 엄마의 표정 속에서 안정감과 평안함이 느껴집니다.

 

 

 

좋은 내용을 담고 있지만 화풍으로 살짝 거부감이 들었던 책이예요.

무섭다고 느껴져서 그런 듯합니다.

표정들에서 느껴지는 섬뜻함과 아이가 좀 더 아기스럽지 않다는 것.

그리고 아기의 모습을 하는 정령들의 모습에서는 사실 소름도 끼쳤습니다. -.=

어쩌면 작가는 이런 감정을 유도하고 유괴 사건의 끔찍함을 절실하게 전달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화풍이 맘에 썩 드는 것은 아니지만 이 작가에 대해 더 알고 싶어졌습니다.

작가에 대해 아래의 글을 담아봅니다.

 

샌닥은 어린이를 관찰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자기 안에 살고 있는 어린이를 발견해내는 데에 뛰어난 재능을 가진 작가라는 평을 받고 있다.

어른들의 눈으로 꿰어 맞춘 어린이가 아니라 제 나이만큼의 생각과 고민을 가진 ‘진짜 아이들’이 등장하여

어린이들에게 마치 자신의 이야기처럼 느낄 수 있게 한다.

그는 어린이들 눈높이에 맞추어 어린이들과 함께 보고 느끼고 경험한 것을 정확한 그림으로 표현해내고 있다.

칼데콧상 시상식에서 샌닥은 이렇게 말했다.

 ”어린이의 갈등이나 고통을 전혀 드러내지 않는 허식의 세계를 그린 책은 자신의 어릴 때의 경험을 생각해 낼 수 없는 사람들이 꾸며 내는 것이다.

그렇게 꾸민 이야기는 어린이의 생활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그는 1970년에 최고의 어린이 책 작가들에게 수여되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상을 수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