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도깨비상 – 동화 부문

1992년에 비룡소가 국내 어린이 문학계 최초로 설립한 어린이 문학상입니다. 어린이들의 정서와 감성을 존중하는 좋은 그림책, 동화책을 공모, 시상하여 국내 어린이 문학의 발전을 도모하고 그 토대를 마련하고자 만들어졌습니다. 매해 시상하며, 신인에게는 등단의 기회를 기성 작가에게는 폭넓은 창작의 발판을 제공합니다.

수상작 및 작가

당선작: 김혜연 「뻐꾸기」
심사위원:   (본심) 김화영·오정희·김경연·황선미 (예심) 김경연·황선미·남찬숙
본상: 상패
부상: 1,000만 원(선인세 500만 원/ 창작지원금 500만 원) – 특전 볼로냐 도서전 참관

연령 10세 이상 | 출판사 비룡소 | 출간일 2009년 3월 10일 | 정가 15,000원
수상/추천 YES24 어린이 도서상 외 3건
구매하기
나는 뻐꾸기다 (보기) 판매가 13,500 (정가 15,000원) 장바구니 바로구매
(10%↓ + 3%P + 2%P)
구매

심사 경위

제15회 황금도깨비상 수상작이 최종 결정되었다. 지난 10월 20일 원고를 최종 마감하여 예·본심을 진행한 황금도깨비상 장편동화 부문에는 총 24편이 접수되었다.

예심에 아동문학 평론가 김경연, 동화작가 황선미, 동화작가 남찬숙 님을, 본심에는 문학 평론가 김화영, 소설가 오정희, 아동문학 평론가 김경연, 동화작가 황선미 님을 위촉하였다. 장편동화 총 24편을 각각 8편씩 예심 위원들에게 보내어 심사한 결과, 총 6편을 본심작으로 천거, 본심 위원들에게 심사를 맡겼다. 지난 12월 3일 본사에서 네 본심 위원이 함께 모여 논의한 결과, 전원 만장일치로 김혜연의「뻐꾸기」를 당선작으로 선정하였다.

장편동화 부문의 당선작은 이듬해인 2009년 책 출간과 함께 제15회 황금도깨비상 수상 작품으로 공식 발표한다.


심사평

본심작   김혜연 「뻐꾸기」   임한규 「거울 놀이」   오채 「학교가 사라졌으면 좋겠어!」   김자영 「거북이 문방구」   신지영 「내일을 향해 깡통을 차라」   정귀영「안녕, 정각공장」

심사위원
본심:
김화영(문학평론가), 오정희(소설가), 김경연(아동문학 평론가), 황선미(동화작가)
예심: 김경연(아동문학 평론가), 황선미(동화작가), 남찬숙(동화작가)

올해 예심을 통과한 작품은 1) 「뻐꾸기」 2) 「내일을 향해 깡통을 차라」 3) 「학교가 사라졌으면 좋겠어」 4) 「안녕, 정각공장」 5) 「거울 놀이」 6) 「거북이 문방구」 이상 여섯 편이었다. 이번처럼 심사위원 전원의 의견이 일치한 경우는 그리 흔하지 않을 것이다. 당선작의 선정뿐만이 아니라 여섯 편에 대한 평가 순위에서 또한 의견이 일치했다. 우리는 주로 앞의 4편을 반복하여 읽고 검토의 대상으로 삼았다. 끝의 두 편은 다른 작품들에 비하여 그 수준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판단했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작품은 이미 작년에 응모하여 심사위원들의 주목을 받았으나 끝내 수상대상이 되지 못하였다가 이번에 개작하여 다시 응모한 작품이다. 「내일을 향해 깡통을 차라」는 개구쟁이들을 상대하는 학원 원장의 딱한 입장이 많은 공감을 자아냈고 문장력 또한 상당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이미 쓴 작품을 전체적으로 재편성하는 어려운 노력을 마다하지 않은 의욕 또한 높이 살 만하다. 그러나 개작의 과정에 등장한 “인터뷰” 형식은 다소 인위적인 데다 작품의 일관성에도 큰 도움을 주지 못했다. 깡통 차기 놀이의 서술은 여전히 너무 장황하여 이야기의 긴장감을 떨어뜨린다. 「학교가 사라졌으면 좋겠어」는 그 신명나는 주제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 환상으로 넘어가고 현실로 돌아오는 경계선의 처리가 여전히 부자연스럽다. 아무리 대담한 상상력에도 나름의 “결”과 논리가 있는 법, 그 흐름을 자연스럽게 따라가며, 천사에게 꿰맨 자국이 안 보이는 날개를 달아주는 연습이 더 필요할 것 같다.

「안녕, 정각공장」은 주제에 맞물린 시계 공장이라는 상황설정이 흥미롭고 특히 시간이라는 매우 중요한 문제를 다루려는 의욕이 만만치 않다. 다만 작가가 감당하기에 너무 벅찬 주제와 씨름하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나”의 시간을 과거로 되돌리는 것도 지난한 일인데 다른 사람들의 시간까지 거기에 함께 맞물리게 하자니 그 개연성에 무리가 생긴 것 아닐까? 시간이라는 영원한 철학적 주제를 아이들 특유의 단순하고 투명한 마음으로 접근하는 대담한 전환이 요구된다.

작년에 당선작을 내지 못해 처음부터 걱정이 많았는데 「뻐꾸기」는 정말 제시간에 뻐꾹뻐꾹 잘도 노래해 주었다. 이 작품은 우선 그 플롯 설정에 있어서 매우 노련하다. “뻐꾸기 ”와 “기러기”로 상징되는 두 결손가정, 버려진 아이와 어른의 고독, 마주 보는 두 아파트, 각기 다른 방식으로 어미에게서 떨어져나간 새끼 뻐꾸기 동재와 유희, 각기 다른 방식의 “가출”로 성장통을 앓는 소년 건이와 동재, 속이 깊은 외삼촌과 “화끈하고 솔직한” 외숙모, 그리고 대단원에 이르러 다시 돌아오는 동재의 어머니와 ‘아저씨’의 둘째 아들 등 인물, 상황의 대칭과 대립, 동재 네의 “빵빵한” 쓰레기봉투와 아저씨 네의 “헐렁하고 울퉁불퉁한” 쓰레기 봉지가 반영하는 삶의 내용상의 대조, 아저씨가 세탁하여 “비누 냄새가 살짝 나는” 운동화와 동재가 “우렁 각시처럼” 몰래 청소하고 정리한 아저씨네 아파트 등 그 대칭 구조가 간결하면서도 정교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생리적 절박함에 몰린 주인공 동재를 복도에 문밖에 세워 놓음으로써 901호과 902호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아저씨와 “친구 먹게” 하는 설정은 절묘하다. 문학은 이처럼 무형의 삶에 절실한 형식을 부여할 때 감동적인 동시에 아름다운 것이다.

다음으로 이 작품은 그 사소한 삶의 세목들의 운용에 있어 탁월한 역량을 보인다. 옆구리가 터진 쓰레기 봉지, 손에 묻은 오물을 나뭇잎에 닦으며 미안하다고 느끼는 소년의 심리, 건이가 밀쳐서 동재의 마음처럼 방바닥에 쏟아지는 과자의 파열, 아저씨네 아파트 안의 어둑하고 “처량한” 실내 분위기, 욕조나 냉장고의 썰렁한 정경, 가정의 결손을 상징하듯 “거울에서 떨어지며 두 동강 나는” 낡은 면도기, 외로운 뻐꾸기 동재에게는 틈을 허용하지 않으려는 듯 각기 네 사람 씩 배치된 직사각형의 “가족사진틀” 등 서술의 곳곳에 상감되어 있는 용의주도한 디테일들은 동화가 그리는 삶에 진정성을 부여한다.

그리고 끝으로 동화의 형식과 세목들이 반영하는 심리적 진실이 우리에게 공감을 자아낸다. 인터넷 메일을 자기 자신인 “뻐꾸기에게” 보내는 동재의 폐쇄적 고독, 엄마가 남긴 낡은 가방, 저금통장, 바이올린 등은 심리적 공명의 폭이 큰 오브제들이다. 그리고 아저씨가 “조금” 보고 싶다든가 나는 “좀” 슬프다고 쓴 편지에서 독자는 그 부사의 수줍은 웅변에 감동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뻐꾸기”로 상징되는 삶의 상처 앞에서 어른인 아저씨와 달리 엄살 부리지 않고 합리적으로 현실을 인정하고 견디는 동재, 그리고 얼굴도 마음씨도 예쁜 소녀 연이와 유희, 순진한 어린이답게 필요한 순간이면 남의 집 소파에서건, 달리는 자동차 안에서건 쉽게 찾아오는 동재의 “잠”, 그것이 상징하는 저 “가벼움”과 해방은 우리 모두의 구원인 동시에 또한 그만큼 더 독자의 마음속에 더욱 진정한 공감과 가슴 짠한 연민을 불러일으킨다.

뱃속에 서리는 “검은 연기 같은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못되게 구는 사람은 자기가 불행하기 때문”이라는 지혜로운 연민과 공감으로 탈바꿈시키는 이 동화는 분명 올해의 값진 수확이다. 역량 있는 한 작가의 탄생을 진심으로 축하한다.

본심 심사위원  김화영·오정희·김경연·황선미